Linux 마스터 2급
<Linux 마스터 2급> 소스 코드 설치
지우친구 웅이
2021. 11. 1. 21:11
1. 소스 코드를 압축 해제 후 컴파일 순서에 따라 프로그램을 실시한다.
· 소스코드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다.
· 컴파일은 고급언어를 저급언어로 변환시켜주는 것이다.
· 리눅스에서 소스코드는 대부분 C언어로 작성된다.
2. 컴파일 순서는 설치 파일의 환경설정(configure), 컴파일(make), 파일 설치(make install)
1단계 환경설정 | ./configure | ·프로그램 설치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환경파일 makefile 생성 - 시스템 파일 위치 지정 또는 설치 파일 위치 지정 - configure 뒤에 옵션을 넣음 |
2단계 컴파일 | make | · makefile을 기반으로 소스 파일을 컴파일 · make가 끝나면 소스 파일은 실행파일(setup)로 전환 |
3단계 파일 설치 | make install | · 컴파일된 실행파일을 지정된 속성으로 지정된 디렉터리에 설치 |
※ 'make && make install'로 컴파일과 파일 설치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.
3. CMake(Cross Platform Make)
· 멀티 플랫폼으로 사용할 수 있는 Make의 대용품을 만들기 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
· 키트웨어와 인사이트 콘소시엄에서 개발
· 지정한 운영체제에 맞는 Make파일의 생성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'Meta Make'라고도 불림
· 특징
- 소프트웨어 빌드에 특화된 언어로 독자적 설정 스크립트 사용
- C, C++, 자바, 포트란에 대해 자체적으로 의존 관계 분석
- 스위그, QT 지원에 특화
-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를 자체적으로 지원
- 이클립스용 빌드 파일을 생성
- 타임스탬프를 통해 파일 내용의 변화 파악
- 평행 빌드
- 크로스 컴파일
- 다양한 플랫폼 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