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마스터 2급

<Linux 마스터 2급> RPM(RedHat Package Manager)

지우친구 웅이 2021. 10. 31. 22:47
Debian 계열 배포업체 Debian, Ubuntu, Xandros, Linspire
패키지 툴 dpkg, apt-get, aptitude
RedHat 계열 배포업체 Fedora, CentOS, RHEL, openSUSE, mandirva
패키지 툴 rpm, yum

※ 슬렉웨어와 같은 예외도 있다.

 

■RPM(RedHat Package Manager)

1.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, 삭제 시 사용

2. Windows의 setup.exe와 유사함

3. 패키지 파일 확장명은 '*.rpm'

 

ex) sendmail-8.14.3-5.fc11.i586.rpm

sendmail : 패키지명(패키지명은 하이픈으로 연결되어 길게 명시될 수 있다.)

8.14.3     : 버전(8 : 주버전, 14 : 부버전, 3 : 패치번호)

5           : 릴리즈번호(문제점을 개선할 때마다 붙여지는 번호)

fc11       : 페도라버전(페도라에서 배포할 경우 붙여지며 생략 가능)

i586       : 아키텍처(파일이 설치 가능한 CPU를 의미)

 

ex) kernel-3.10.0-327.el7.x86_64.rpm

kernel   : 패키지명(패키지명은 하이픈으로 연결되어 길게 명시될 수 있다.)

3.10.0   : 버전(3 : 주버전, 10 : 부버전, 0 : 패치번호)

327      : 릴리즈번호(문제점을 개선할 때마다 붙여지는 번호)

el7       : CentOS버전(CentOS에서 배포할 경우 붙여지며 생략 가능)

x86_64  : 아키텍처(Intel 또는 AMD 계열의 64비트 CPU, noarch가 오는 경우도 있음)

 

4. 패키지 설치, 확인, 삭제에 관한 옵션

형식 rpm [옵션] 패키지명
번호 옵션 기능
1 -i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
2 -h 패키지를 풀 때 해시(#)마크 표시
3 -U 기존의 패키지를 업그레이드
4 -e 패키지 제거
5 -q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
6 -f<파일> <파일>을 포함하는 패키지에 대하여 질문을 수행
7 -F -f와 같지만 파일 이름을 표준 입력에서 읽음
8 -v 진행 과정을 메시지로 표시
9 -vv 메시지를 상세히 명시
10 --nodeps 의존성 관계를 무시하고 설치
11 --oldpackage 구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
12 --replacepkgs 패키지 재설치
13 --replacefiles 이미 설치된 다른 패키지의 파일을 덮어쓰면서라도 강제 설치
14 --force 11, 12, 13번 모두 사용

 

5. 설치된 패키지들이 보안상 침입자에 의해 권한 획득이나 변조가 되었는지 검사

ex) rpm -V httpd

번호 옵션 기능
1 -V verify의 약자로 검증할 때 쓰는 기본 옵션
2 -a 모든 패키지 검사

 

6. RPM 검증 코드

코드 옵션 코드 기능
5 MD5체크섬을 변경 D 장치파일을 변경
S 파일의 크기를 변경 U 파일 사용자/소유자 변경
L 심볼릭 링크를 변경 G 파일 그룹 변경
T 파일의 수정일을 변경 M 파일 모드(권한과 파일 형태)가 변경