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마스터 2급

<Linux 마스터 2급> 오답노트

지우친구 웅이 2021. 12. 2. 01:36

■다음 중 /etc/fsta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 첫 번째 필드는 장치명, 볼륨 라벨, UUID 모두 사용이 가능

 특정 파티션을 부팅 시에 자동으로 마운트되지 않도록 설정 가능

③ dump 명령을 통한 백업 시 사용 주기를 매일 수행, 이틀에 한 번 수행, 주 1회 수행으로 설정 가능

 파일 시스템 관련 정보 파일로 mount, umount, fsck 등의 명령어가 수행될 때 이 파일의 정보를 참조

 

=> fstab의 5번째 필드는 dump명령을 통한 백업 시 레벨 덤프 사용 주기를 결정하는 부분으로 0이면 dump를 사용하지 않고 1이면 매일 수행, 2이면 이틀에 한 번 수행한다.

 

■다음은 root 사용자가 kaituser의 셸을 변경하는 과정이다.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[root@ihd~]# chsh ()

 kaituser

 -s kaituser

 -u kaituser

 -v kaituser

 

=> chsh -s : 지정하는 셸을 앞으로 사용할 로그인 셸로 변경

    chsh -u : 없음

    chsh -v : 버전 정보를 출력

 

■다음 중 /etc/passwd 파일에서 사용자의 로그인 셸이 기록되어 있는 곳으로 알맞은 것은?

 4번째 필드

 5번째 필드

 6번째 필드

④ 7번째 필드

 

=> 사용자명:패스워드:uid:gid:/사용자 계정 이름(정보):/사용자 계정 홈 디렉터리/사용자 계정 로그인 셸

 

■다음 중 특정 사용자의 ~/.bashrc 파일에 설정하는 항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?

 프롬프트와 function

 alias와 프롬프트

③ alias와 function

 프롬프트와 PATH

 

=> ~/.bashrc는 별칭(alias)과 bash가 수행될 때 함수를 제어하는 지역적인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

 

■다음 중 사용 가능한 셸의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 set

 env

③ chsh

 usermod

 

=> env : 글로벌 환경변수(전역 변수) 조회 명령어

     set : 로컬 환경변수(지역 변수) 조회 명령어

     chsh -l : 사용 가능한 셸의 목록 확인(cat /etc/shells)

     usermod : 사용자 계정 정보 수정

 

■다음 중 사용자의 로그인 셸이 기록되어 있는 환경 변수로 알맞은 것은?

 USER

 HOME

③ SHELL

 PWD

 

=> USER : 사용자의 이름

     HOME : 사용자의 홈디렉터리

     SHELL : 로그인해서 사용하는 셸

     PWD : 사용자의 현재 작업하는 디렉터리

 

■다음 제시된 NI 값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낮게 할당되는 값으로 알맞은 것은?

 -20

 0

③ 10

 20

 

=> NI 값은 낮은 값일수록 높게 잡히는데, -20~19 까지 줄수 있다. 즉 -20은 우선순위가 가장 높고 20은 없는 숫자이다.

즉, 10이 가장 낮게 할당되었다.

 

■다음 중 번호값이 가장 작은 시그널명으로 알맞은 것은?

 SIGINT

② SIGHUP

 SIGQUIT

 SIGCONT

 

=> SIGINT : 2, SIGHUP : 1, SIGQUIT : 3, SIGCONT : 18, SIGKILL : 9, SIGSEGC : 11, SIGSTOP : 19

 

■다음 중 백업 스크립트가 일주일에 1회만 실행되도록 crontab에 설정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 1 1 1 * * /etc/backup.sh

 1 1 * 1 * /etc/backup.sh

1 1 * 5 * /etc/backup.sh

④ 1 1 * * 5 /etc/backup.sh

 

=> "분 시 일 월 요일 사용자명 실행명령" 이므로 4번은 1분 1시 금요일에 실행된다.

     1번은 한달에 한번, 2번은 일년에 한번, 3번은 일년에 한번

 

■사용 중인 bash 프로세스의 PID 1222일 때 renice 명령의 사용법으로 알맞은 것은?

renice 1 bash

② renice 1 1222

 renice --1 bash

④ renice --1 1222

 

=> nice는 프로세스 명을 입력해야되고 renice는 PID값을 입력해야 된다. 즉, 2번 아니면 4번인데 NI값을 조절하는 것인데 --를 입력하는 것은 없다.

 

■다음 중 우선순위가 인위적으로 높아진 상태를 의미하는 프로세스 상태 코드 값으로 알맞은 것은?

① H

② N

③ <

④ >

 

=> H : 없음?

     N :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아진 상태

     < : 우선순위가 인위적으로 놓아진 상태

     > : 없음?

 

■다음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해 주는 명령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?

# ps -A

① 터미널과 연관된 프로세스를 출력

② System V 계열에서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하는 명령

③ 시스템에 동작 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소유자 정보와 함께 출력

④ 세션 리더를 제외하고 터미널에 종속되지 않은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

 

=> System V 계열은 '-'를 사용하고 BSD 계열은 '-'를 사용하지 않는다.

     'ps -A'는 모든 프로세스를 선택한다.

 

■다음 중 실행 중인 emacs 편집기를 종료하는 키 조합(key stroke)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Crtl + X 다음에 Crtl + C

② Crtl + X 다음에 Crtl + E

③ Crtl + X 다음에 Crtl + S

④ Crtl + X 다음에 Crtl + F

 

=> Ctrl + X; Ctrl + C : emacs를 종료

     Ctrl + X; Ctrl + S : 편집된 내용을 저장

     Ctrl + X; Ctrl + F : 새 문서 작업을 위해 새로운 파일명을 지정하고 편집

 

■다음은 시스템에 설치된 rpm 패키지 중 아파치 데몬과 관련된 모든 패키지를 출력하려고 한다. 다음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# rpm ( ㄱ ) | grep ( ㄴ )

① ㄱ : -qi       ㄴ : apache

② ㄱ : -qa      ㄴ : httpd

ㄱ : -qf       ㄴ : web

ㄱ : -ql       ㄴ : apr

 

=> qi : 설치된 패키지명을 출력하는 것(패키지 정보)

    qa : 시스템에 설치된 전체 패키지의 목록을 출력

    qf : 파일이 속한 패키지를 찾는 것

    ql : 설치된 패키지명을 출력하는 것(내부목록 출력)

 

■다음 중 소스 파일을 압축하는 유틸리티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
① tar

② xz

③ gcc

④ gzip

 

=> tar :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거나 풀 때 사용

      xz : 무손실 데이터 압축 프로그램 및 LZMA2 압축 알고리즘 파일 형식

    gcc : GNU Compiler Collection

   gzip : 파일 압축에 쓰이는 응용 소프트웨어

 

■다음 중 SAN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① GPL 라이선스로 공개되어 있다.

② GTK+ 라이브러리로 만들어졌다.

③ 이미지 관련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API이다.

④ 스캐너 관련 드라이버와 사용자 관련 명령이 있는 2개의 패키지로 구분되어서 배포된다.

 

=> SANE(Scanner Access Now Easy)로 평판 스캐너, 핸드 스캐너, 비디오 캠 등 이미지 관련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해주는 API이다. GPL 라이선스로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뿐 아니라 OS/2, MS도 지원한다.

SANE는 스캐너 관련 드라이버가 들어있는 sane-backends, 사용자 관련 명령이 들어있는 sane-frontends 2개의 패키지로 배포된다.

 

■다음 중 지정한 파일이 프린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작업을 요청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pr

lp

lpc

lpq

 

=>

계열 BSD System V
프린트 하기 lpr(#) lp(n)
프린터 상태 확인 lpq lpstat
프린트 취소 lprm cancel
프린트 제어 lpc  

 

■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윈도의 배치와 표현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창 열기,
창 닫기, 최소화 및 최대화, 이동, 크기 조정등을 가능하게 한다.

① 윈도 매니저

② 디스플레이 매니저

③ 데스크톱 환경

④ 파일관리자

 

=> 윈도 매니저 : 창 열기와 닫기, 창의 크기 조정 등 창의 배치와 표현을 담당하는 시스템 프로그램

디스플레이 매니저 : 사용자에게 그래픽 로그인 화면을 띄워주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을 진행

   데스크톱 환경 : 윈도우 매니저, 파일 관리자, 도움말, 제어판 등 다양한 도구를 제공하는 패키지 형태의 프로그램

   파일 관리자 :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파일 시스템과 함께 동작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

 

■다음 중 X 윈도 관련 프로그램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?

① Kwin

② Xfce

③ LXDE

④ GNOME

 

=> Kwin : X 윈도우 시스템을 위한 윈도우 매니저

     Xfce :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플랫폼을 위한 자유 소프트웨어 데스크톱 환경

    LXDE : 유닉스와 POSIX 호환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유 오픈소스 테스크톱 환경

GNOME : 리눅스의 GUI 데스크톱 환경

 

■다음 중 xhost 명령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X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지정하거나 해제하는 명령

② +나 - 기호를 사용해 접근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음

③ 사용자 기반 인증을 통한 접근 허가 파일 관련 도구

④ 특정 사용자가 실행하면 $HOME/.Xauthority 파일이 생성됨

 

=> xhost + : 접근 허용

     xhost - : 접근 제어

     3번과 4번은 xauth에 관한 내용

 

■다음 중 NFS 서버 사용 시에 반드시 구동해야 할 데몬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CIFS

② NetBIOS

③ RPCBIND

④ LanManager

 

=> CIFS(Common Internet File System) : SMB 파일 공유 프로토콜의 확장된 버전, 윈도우와 유닉스 환경을 동시 지원

     NetBIOS : 세션 계층에 관련된 서비스들을 제공하여 개개인의 컴퓨터의 앱들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

     RPCBIND : NFS 서비스는 RPC 통신을 사용하기 때문에 portmap 데몬이 필요. 즉, rpcbind가 먼저 실행되어야 함

     LanManager : 사용자가 개인 장치를 단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Microsoft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서버 소프트웨어 포함

 

■다음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삼바가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( ㄱ ) 프로토콜을 사용하였으나
최근에는 ( ㄴ )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
① ㄱ : portmap      ㄴ : rpcbind

ㄱ : prcbind       ㄴ : portmap

③ ㄱ : CIFS           ㄴ : SMB

④ ㄱ : SMB           ㄴ : CIFS

 

=> CIFS는 SMB의 확장된 버전

 

■다음 중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ss

 arp

③ netstat

④ ifconfig

 

=> ss : 리눅스 시스템의 소켓 상태를 조회할 수 있는 유틸리티(netstat과 비슷한 역할 수행)

   arp :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arp 테이블을 확인하고 추가, 삭제하는 명령어 

netstat : 네트워크 연결상태, 라우팅 테이블, 인터페이스 상태, 게이트웨이 주소 등을 보여주는 명령어

ifconfig 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(IP 주소, 서브넷마스크, MAC 주소, 네트워크 상태)를 설정, 확인하는 명령어

   route : 게이트웨이 주소 확인 가능

 

■다음과 같은 조건일 때 설정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값으로 알맞은 것은?

IP 주소 : 192.168.3.129
서브넷마스크 : 255.255.255.128

① 192.168.3.127

 192.168.3.128

③ 192.168.3.254

④ 192.168.3.255

 

=> 129(10000001) & 128(10000000) = 128(10000000)

     브로드캐스트 주소는 호스트 비트가 모두 1인 것

     따라서 255(11111111)

 

■다음 중 OSI-7계층의 응용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거리가 먼 것은?

① HTTP

POP3

③ DNS

④ SSL

 

=> SSL은 OSI-7계층에 속하는 것이 아닌 전송 계층과 응용 계층 사이에 독립적인 계층을 만들어 동작(SSL Layer)

 

■로컬 시스템의 계정과 다른 원격지 계정으로 ssh 서버에 접속하려고 한다. 다음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[ihduser@ihd~]$ ssh () kaituser ihd.or.kr

① -l

② -n

③ -p

④ -u

 

=> ssh -l : 원격 시스템에 사용할 로그인 이름 설정

     ssh -p : 원격 호스트에 연결할 포트 지정

 

■다음 중 IPv6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① 패킷 크기의 확장

② IP 주소 대역 구분인 클래스의 확장

③ 헤더 구조의 단순화

④ 흐름 제어 기능 지원

 

=> IPv4의 클래스가 늘어나는 것은 아님

     IPv6는 패킷의 크기가  IPv4보다 확장되었고, 고정크기의 단순한 헤더를 사용함에 따라 효율적인 라우팅을 수행한다.

 

■다음에서 설명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가장 알맞은 것은?

클라우드 컴퓨팅이 발전하면서 모든 IT 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
제공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. 이것은 클라우드
컴퓨팅 서비스 모델 중 하나로 사용자로 하여금 프로젝트 혹은 
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서비스 형태로 등록하여 특정 이벤트가 
발생되었을 때 실행되고 작업이 완료되면 종료되게 하는 개념이다.

① SaaS(Storage as a Service)

② PaaS(Platform as a Service)

③ FaaS(Function as a Service)

④ IaaS(Infrastructure as a Service)

 

=> FaaS란 stateless 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이벤트 기반 컴퓨팅 실행 모델로서, 서비스를 사용하여 서버측 로직과 상태를 관리한다.

 

■다음 중 리눅스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
① GENIVI

② QNX

③ TIZEN

④ WebOS

 

=> QNX는 유닉스 계열로 시스템 크기가 매우 작다.

 

■다음 중 셸에서 선언된 셸 변수 전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set

② env

③ chsh

④ export

 

=> set : 현재 로그인 셸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 변수(셸 변수) 확인

    env : 전체 셸에서 사용 가능한 전역변수(환경 변수) 확인

   chsh : 사용자가 기본으로 사용하는 셸의 종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
 export : 환경변수 값 설정

 

■다음 중 시스템 계정에 설정되는 셸로 알맞은 것은?

① /bin/bash

② /bin/dash

③ /bin/tash

④ /sbin/nologin

 

=> /bin/bash : 사용자가 계정에 로그인 했을 때 기본적으로 사용할 셸

/sbin/nologin : shell, ssh 접근 및 홈디렉터리는 제공하지 않음.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

 

■다음 중 가장 최근에 등장한 셸로 알맞은 것은?

① csh

② ksh

③ tcsh

④ bash

 

=> csh : 1978년

     ksh : 1983년

    tcsh : 1981년

   bash : 1989년

 

■다음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?

[ihduser@www~]$ !5

① 최근에 실행한 마지막 5개의 명령어 목록을 출력

② 히스토리 명령 목록의 번호 중에서 5번에 해당하는 명령 실행

③ 히스토리 명령 목록에서 5만큼 거슬러 올라가서 해당 명령을 실행

④ 히스토리 명령 목록에서 번호가 1번부터 5번에 해당하는 명령을 출력

 

=> '!n'은 n번째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시킴 

 

■다음 결과에 해당하는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?

<변경 전>
[ihduser@www~]$

<변경 후>
[ihduser@21:05:12~]$

① PS1

② PS2

③ DISPLAY

④ PROMPT

 

=> PS1은 1차 명령 프롬프트 변수(우리가 작업하는 터미널은 PS1 프롬프트)

     PS2는 2차 프롬프트 변수('>' 형태를 출력하는 프롬프트)

     DISPLAY는 X 응용 프로그램이 화면 출력을 위해 접속할 X 서버의 장소를 의미

     PROMPT는 사용자에게 키보드 입력을 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컴퓨터가 화면에 나타내는 기호나

     메시지를 말함

 

■top 명령은 실행 상태에서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여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. 다음 중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① k는 PID값을 입력하여 종료신호를 보낸다.

② p는 프로세스와 CPU 항목을 on/off 한다.

③ m은 메모리 관련 항목을 on/off 한다.

④ W는 바꾼 설정을 저장한다.

 

=> t는 프로세스와 CPU 항목을 on/off 한다.

 

■다음 중 fg %2 명령을 실행했을 경우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?

[1]+ Stopped sleep 1000
[2]- Running sleep 3000 &
[3]  Running sleep 2000 &

① fg +와 동일한 명령으로 sleep 1000 작업이 실행된다.

②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던 sleep 2000 작업이 실행된다.

③ fg -와 동일한 명령으로 sleep 2000 작업이 실행된다.

④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던 sleep 3000 작업이 실행된다.

 

=> 'fg'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옮긴다.

 

■다음 중 프로세스 식별번호가 2219, 2229, 2239인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kill -9 22*9

② kill -9 22{1,2,3}9

③ killall -9 2219 2229 2239

④ killall -9 2219, 2229, 2239

 

=> kill 명령어는 PID 인수를 여러 개 받을 수 있다.

     "kill -9 프로세스아이디1 프로세스아이디2 프로세스아이디3 ..."

     killall 명령어는 특정 프로세스를 한 번에 죽이는 명령어

 

■다음 중 SIGINT(또는 INT)의 시그널 번호로 알맞은 것은?

① 1

② 2

③ 9

④ 15

 

=> 시그널 목록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'kill -l'

     1) SIGHUP

     2) SIGINT

     9) SIGKILL

    15) SIGTERM

 

■다음에서 설명하는 vi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/etc/hosts 파일을 열면서 ihd라는 문자열이 있는 위치에 커서를 둔다.

① vi +/ihd /etc/hosts

② vi +ihd /etc/hosts

③ vi +/etc/hosts /ihd

④ vi +/etc/hosts ihd

 

=> 'vi +/{검색할 문자열} {파일명}'을 통해 문자열이 있는 위치에 커서를 둔다.

 

■다음 중 운영 중인 서버의 특정 포트에 접속하여 연결된 (ESTABLISHED)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의 조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?

① ip, netstat

② ss, netstat

③ ip, route

④ ss, route

 

=> netstat과 ss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.

 

■다음은 다른 계정으로 접근하는 과정이다.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[ihduser@www~]$ ssh () kait www.ihd.or.kr

① -u

② -n

③ -p

④ -l

 

=> ssh -l : 원격시스템에서 로그인할 사용자를 지정

 

■다음 중 이더넷 케이블의 배열 순서인 T568B를 표준화한 기구로 알맞은 것은?

① ISO

② EIA

③ ITU

④ IEEE

 

=> ISO : 국제적으로 두루 쓰는 표준을 만들고 보급

     EIA : 미국 전자 산업 협회

     ITU : 국제전기통신연합

    IEEE : 전기전자기술자협회

 

■다음 중 웹 서비스에 사용되는 포트 번호로 알맞은 것은?

① 80

② 143

③ 8008

④ 8080

 

=> 80번 포트 : HTTP

   143번 포트 : IMAP4(인터넷 메시지 접속 프로토콜)

  8080번 포트 : HTTP Alternate

 

■다음 중 할당받은 C 클래스 네트워크 주소 대역에서 서브넷마스크를 255.255.255.192이고,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정했을 경우에 사용 가능한 IP 주소 개수로 알맞은 것은?

① 61

② 62

③ 63

④ 64

 

=> prefix 26

     2^6 = 64

     64 - 서브넷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, 게이트웨이 주소 = 61

 

■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술이 탑재된 제품으로 알맞은 것은?

커널이 수정된 게스트 운영체제를 통해 물리적 서버에 대비하여
최대 98%의 성능을 나타낸다는 CPU 반가상화를 지원한다.

① Xen

② KVM

③ RHEV

④ VitualBOX

 

=> Xen : 여러 게스트 운영체제를 한 컴퓨터에서 동시 실행하는 데 쓰임

 

■소유 그룹 변경 명령어인 chgrp 명령어를 이용하여 원본 파일의 소유권은 그대로 둔 채 심볼릭 링크 파일의 그룹 소유권만 변경하려고 한다. 다음 중 해당 명령에 사용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-f

② -s

③ -h

④ -g

 

=> chgrp -h : 심볼릭 링크 파일 자체의 그룹 소유권 변경

 

■다음 중 특수 권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① Set-UID는 소유자 권한 부분의 x 자리에 s로 표시되며,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설정한다.

② 숫자 모드의 경우 천의 자리가 Set-UID는 4, Set-GID는 2, Sticky-Bit는 1의 값을 갖는다.

③ /tmp에 설정되어 있는 권한은 Sticky-Bit로 일시적 파일 생성 및 삭제가 필요할 때 주로 이용된다.

④ Set-GID는 권한이 설정된 디렉터리에 사용자들이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하면 사용자가 속한 그룹과 상관없이

    디렉터리 소유 그룹으로 만들어 진다.

 

=> Set-UID는 그 파일의 소유자 권한으로 실행하기 위해 실행 순간만 권한을 빌려오는 것으로 보안 강화를 위함이 아님

 

■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유형으로 틀린 것은?

① ext

② vfat

③ ntfs

smb

 

=> SMB(서버 메시지 블록)는 도스, 윈도우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 및 주변 장치들을 공유하는데 사용되는 메시지 형식

 

■다음 중 fsck 명령 수행 시 손상된 디렉터리나 파일 수정을 위한 임시 디렉터리로 알맞은 것은?

① /lost.found

② /lost-found

③ /lost_found

④ /lost+found

 

=> /lost+found 디렉터리는 fsck 등에 의해서 발견된 결함이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가 보관되는 디렉터리

 

■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셸로 알맞은 것은?

POSIX와 호환되는 /bin/sh를 가능한 작게 구한 셸로 빠른 
작업 수행이 특징이지만 history 명령 등은 지원하지 않는다.

① ksh

② csh

③ tcsh

④ dash

 

=> dash 셸은 본셸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고, POSIX 표준을 준수하여 작은 크기로 만들어짐(프롬프트는 $)

 

■다음 중 바로 직전에 내린 명령을 재실행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!1

② !0

③ !!

history -1

 

=> !! : 바로 전에 사용한 명령을 수행

 

■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파일로 가장 알맞은 것은?

시스템 전체(모든 사용자)에 적용되는 환경변수와 시작 관련 프로그램을 설정하려고 한다.

① /etc/profile

② /etc/bashrc

③ ~/.bash_profile

④ ~/.bash_bashrc

 

=> /etc/profile :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환경변수, 시작프로그램 등 일반 환경설정 파일

     /etc/bashrc : 모든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환경설정 파일

     ~/.bash_profile : 개인 사용자의 환경설정과 시작프로그램 설정(일반 환경설정 무시 가능)

     ~/.bashrc : 별칭(alias)와 bash가 수행될 때 실행되는 함수를 제어하는 지역적인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

 

■다음 중 사용자의 프롬프트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?

① PS

② PS1

③ PS2

④ PROMPT

 

=> PS1 : 명령프롬프트변수

     PS2 : 2차 명령프롬프트변수('>'가 출력되는 창)

 

■다음 중 별칭(alias)가 설정된 ls를 원래 명령어가 계속 실행되도록 해제할 때의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\ls

② alias ls

③ ualias ls

④ unalias ls

 

=> unalias : alias로 지정한 명령어 제거

     umount랑 헷갈리지 말 것

 

■사용 중인 bash 프로세스의 PID 1222일 때 nice 명령의 사용법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nice -20 bash

② nice -20 1222

③ nice bash

④ nice 1222

 

=> nice [프로세스] (기존 값에서 10 증가)

     nice [-n 조정수치] [프로세스]

 

■다음 중 번호값이 가장 큰 시그널명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SIGINT

② SIGQUIT

③ SIGTSTP

④ SIGCONT

 

=> SIGINT : 2

   SIGQUIT : 3

   SIGTSTP : 20

  SIGCONT : 18

 

■다음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?

관련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항상 상주하는 것이 아니라,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이 들어오면
관련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서비스가 종료되면 관련 프로세스도 종료한다.

① fork

② inetd

③ daemon

④ standalone

 

=> fork : 새로운 프로세스를 만들 때 기존 프로세스를 복제하는 방식을 사용

    inetd : 어떠한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되는 데몬을 메모리에 올리고 요청을 처리

daemon : 메모리에 상주하며 특정 요청이 오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대기 중인 프로세스

standalone : 독립적으로 수행되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항시 메모리에 상주하는 데몬

 

■다음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리눅스가 부팅을 시작하면 커널이 최초의 프로세스인 ( ㄱ ) 프로세스를 발생시키는데, 
할당되는 PID(Process ID)는 ( ㄴ ) 이다.

① ㄱ : init     ㄴ: 0

② ㄱ : init     ㄴ: 1

ㄱ : inetd   ㄴ: 0

ㄱ : inetd   ㄴ: 1

 

=> init 프로세스는 부팅 과정에서 커널에 의해 실행되고, 각종 서비스를 다른 프로세스를 동작시키는 역할로 PID는 1

 

■다음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프로세스의 우선순위와 관련된 항목에는 ( ㄱ )와 ( ㄴ )가 존재한다. ( ㄱ )는 커널에서
참고하여 운영체제가 실제 참고하는 항목이고 ( ㄴ )는 사용자가 변경하는 항목으로 
( ㄴ )값이 ( ㄱ )값에 반영된다.

① ㄱ : NI       ㄴ: PRI

 ㄱ : PRI      ㄴ: NI

 ㄱ : inetd   ㄴ: exec

 ㄱ : inetd   ㄴ: fork

 

=> PRI는 운영체제에서 참고하는 우선순위로 조작이 불가

     NI는 관리자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우선순위 값(일반 사용자는 우선순위를 낮추기만 할 수 있음)

 

■원격지에서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lin.txt 파일을 편집 중에 네트워크 단절로 중단되었다. 작업 중이던 파일 내용을 불러오려고 할 때 ()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$ vi () lin.txt

① +

② -s

③ -r

④ -R

 

=> vi +n filename : n번째 라인부터 시작

     vi -s : 커서가 위치한 문자열 대체

     vi -r filename : 손상된 파일 회복

     vi -R filename : 파일을 Readonly 상태로 오픈

 

■다음 중 vi 편집기 실행 후 명령 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키로 틀린 것은?

① a

② e

③ i

④ o

 

=> a : 현재 커서 위치 이후부터 입력

     i  : 현재 커서 위치로부터 입력 

     o : 현재 커서가 있는 아래 행부터 입력

 

■다음 설명과 같은 경우 프로그램 설치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?

아파치 웹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디렉터리를 /usr/local/httpd2로 지정해서 운영하려고 한다.

① yum 명령으로 설치되는 디렉터리를 지정한 후에 설치

② apt-get 명령으로 설치되는 디렉터리를 지정한 후에 설치

③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디렉터리를 지정한 후에 설치

④ rpm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디렉터리를 지정한 후에 설치

 

=> 리눅스 상에서 소스파일을 다운로드하고, 컴파일을 위하여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

 

■다음 중 수세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온라인 패키지 관리 기법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yum

② apt-get

③ yast

④ zypper

 

=> yum : RedHat 계열

 apt-get : Devian 계열

     yast : SUSE Linux 설치를 관리 및 유지하기 위한 도구

  zypper : SUSE Linux

     rpm : RedHat

 

■다음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# tar () backup.tar lin.txt

① cvf

② rvf

③ xvf

④ tvf

 

=> tar -c : tar 아카이브 생성, 기존 아카이브 덮어쓰기(파일 묶을 때 사용)

     tar -r : tar 아카이브의 마지막에 파일들 추가

     tar -x : tar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(파일 풀 때 사용)

     tar -t : tar 아카이브에 포함된 내용 확인

     tar -v : 처리되는 과정(파일 정보)을 자세하게 나열

     tar -f :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(기본 옵션)

 

■다음은 압축 파일을 해제하는 과정이다.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# gzip () ihd.tar.gz

① -d

② -r

③ -u

④ -v

 

=> gzip -d : 압축 해제

     gzip -r : 디렉터리를 지정 시 디렉터리에 포함된 모든 파일 압축

     gzip -v : 압축 혹은 해제시 자세한 정보 출력

 

■다음 중 X 윈도 서버로 사용되는 X.org에 적용된 라이선스로 알맞은 것은?

① GPL

② BSD

③ MIT

④ Apache

 

=> X.org 재단은 X 윈도 시스템의 참조 구현인 X.orgServer를 개발해서 MIT 허가서와 같은 오픈소스 라이선스로로 배포

 

■다음 중 X 윈도 관련 프로그램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?

① KDM

② GDM

③ XDM

④ LXDE

 

=> KDM : KDE 데스크톱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매니저

     GDM : GNOME의 디스플레이 매니저

     XDM : 초기 X11에서 도입된 디스플레이 매니저

     LXDE : 유닉스와 POSIX 호환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유 오픈소스 테스크톱 환경

 

■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X11 디스플레이 서버 프로토콜의 클라이언트 측을 구현한 라이브러리로 C 언어로 작성되었으면 
Xlib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

① Qt

② GTK+

③ Xaw

④ XCB

 

=> XCB(X protocol C-language Binding)는 컴퓨팅에서 X 윈도 시스템을 위한 C 언어 결합

     자유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있으며 Xlib을 대체하는 것이 목적

 

■다음 중 부팅 시 X 윈도가 실행되도록 /etc/inittab 파일을 수정하는 항목값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id:3:initdefault:

id:4:initdefault:

③ id:5:initdefault:

④ id:6:initdefault:

 

=> 0 : 시스템 중지

     1 : 단일 사용자 모드, 관리자인 root로 로그인

     3 : 콘솔 모드

     5 : X 윈도우 로그인 모드

 

■다음 중 ftp에서 데이터 전송 시에 사용하는 포트 번호로 알맞은 것은?

① 20

② 21

③ 22

④ 23

 

=> 20번 포트는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, 21번 포트는 신호/명령 제어에 사용된다. 

 

■다음 중 ssh와 관련이 없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scp

② scl

③ sftp

④ slogin

 

=> scp : ssh에서 제공하는 scp 명령어로 서버와 로컬 사이에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다.

      scl : scl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언제든지 실행하고자 하는 패키지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.

    sftp : ssh의 파일 전송 버전

 slogin : 보안 로그인

 

■다음 중 패킷 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① 고정 대역을 할당하지 않는다.

 오버헤드 비트가 존재하지 않는다.

③ 이론상으로 호스트의 무제한 수용이 가능하다.

④ 회선 교환 방식에 비해 더 많은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.

 

=> 패킷 교환 방식의 단점으로 Call Setup에 대한 오버헤드가 존재한다.

 

■다음 중 IP 주소 및 도메인을 관리하는 국제관리기구로 알맞은 것은?

① ICANN

② EIA

③ ITU

④ IEEE

 

=> ICANN(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)는 인터넷 DNS의 기술적 관리, IP 주소공간 할당,         프로토콜 파라미터 지정, 루트 서버 시스템 관리 등의 업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.

 

■다음 중 삼바 서비스와 가장 관련이 깊은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?

① RFC

② IRC

③ CIFS

④ SNMP

 

=> 윈도우 간 파일서버를 구축할 때는 파일공유를 위해 CIFS를 사용한다.

     리눅스 간 파일서버를 구축할 때 파일 공유를 위해 NFS를 사용한다.

     Samba는 윈도우와 리눅스 간 파일공유를 위해 CIFS/NFS를 사용한다.

 

■다음 중 Docke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① 서버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이미지로 만들어 프로세스처럼 동작시킨다.

②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여 경량화된 게스트 운영체제 설치를 지원한다.

③ 실행되는 이미지는 컨테이너(Container)라고 하며 컨테이너 내부에 접속 가능하다.

④ 컨테이너는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고 외부 저장소를 통해 배포가 가능하다.

 

=> Docker는 경량화된 가상화 기술의 일종으로 하이퍼바이저나 게스트 운영체제 없이 서버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과       라이브러리만 격리해서 설치 및 사용 가능하다.

 

■다음 중 CentOS 7에서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quota

② xquota

③ set_quota

④ xfs_quota

 

=> CentOS 7에서는 기본 파일시스템으로 xfs를 사용한다.

     quota :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할 때 사용

     xfs_quota : xfs 파일시스템에서 quota를 사용할 때

 

■다음 중 CentOS 7에서 사용 가능한 파일 시스템 점검 명령으로 틀린 것은?

① fsck

② e2fsck

③ xfs.fsck

④ xfs_repair

 

=> fsck :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파일시스템의 점검과 복구를 할 수 있는 명령어

    e2fsck : fsck의 확장형

xfs_repair : xfs 파일시스템을 점검과 복구하는 명령어

 

■파일의 허가권이 다음과 같다. 사용자는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,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 및 실행 권한만 설정하려고 할 때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$ ls -l lin.sh
-rw-rw-r-- 1 ihd ihd 1079 Jan 27 16:29 lin.sh

① chmod 664 lin.sh

② chmod 644 lin.sh

③ chmod a+x,g-w lin.sh

④ chmod u+rwx,go+rx lin.sh

 

=> + : 권한 주기, - : 권한 뺏기

     4번처럼 쓰려면 chmod u=rwx,go=rx lin.sh

 

■허가권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. 다른 그룹에 속한 kait 사용자의 접근을 막기위한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?

$ ls -ld data
drwxrwxr-x 2 ihd ihd 6 Jan 26 16:59 data

① group 계층의 r 권한을 제거한다.

② group 계층의 x 권한을 제거한다.

③ other 계층의 r 권한을 제거한다.

④ other 계층의 x 권한을 제거한다.

 

=> other 계층의 x 권한을 제거하면 다른 사용자의 접근을 막는다.

 

■다음 중 bash에서 os라는 셸 변수에 linux라는 값을 선언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os=linux

② set os=linux

③ unset os=linux

④ env os=linux

 

=> 변수 사용시에는 "=" 기호 앞뒤로 공백이 없이 입력하면 대입연산자가 된다. 

     env : 글로벌 환경변수 조회

      set : 로컬 환경변수 조회

   unset : 셸 환경에서 변수를 제거하는 명령어

 

■다음은 사용자가 로그인 셸을 변경하는 과정이다. ()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?

[ihduser@www~]$ chsh () /bin/csh

① -c

② -l

③ -s

④ -u

 

=> chsh -s 명령어를 통해 새로운 기본 셸을 선택할 수 있다.

 

■다음 중 CentOS 7 리눅스의 최초 프로세스명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init

② inetd

③ xinetd

④ systemd

 

=> 원래 리눅스에서의 최초 프로세스명은 init 프로세스이지만,

     CentOS 7에서의 최초 프로세스명은 systemd이다.

 

■다음 명령 실행 시에 발생하는 시그널로 알맞은 것은?

# kill 2101

① SIGHUP

② SIGKILL

③ SIGINT

④ SIGTERM

 

=> ctrl + c 입력 시(포그라운드) SIGINT 신호 전달, kill 명령 이용 시(백그라운드) SIGTERM 신호 전달

 

■다음 설명과 관련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백업 명령을 실행하려고 한다.
작업 중인 터미널이 닫혀도 계속 실행될 수 있게 명령을 내리려고 한다.

① nice

② renice

③ nohup

④ bg

 

=> nohu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한 터미널의 세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

 

■다음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?

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
메모리에 계속 실행되어 있는 프로세스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다.

① init

② systemd

③ daemon

④ xinetd

 

=> 데몬이란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며, 사용자의 요청을 기다리고 있다가 요청이 발생하면 이에 적절히 대응하는 리스너와 같은 역할을 한다. 즉,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특정 요청이 오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대기중인 프로세스를 말한다.

 

■다음 중 vi 편집기에서 줄의 linux로 끝날 경우 마지막에 '.' 기호를 덧붙이도록 치환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:% s/linux$/linux./

② :% s/linux./linux$/

③ :% s/linux\>/linux./

④ :% s/linux./linux\>/

 

=> ":% s/변경전문자열/변경후문자열"을 통해 문자열을 치환할 수 있다.

     $는 문자열의 끝을 뜻한다.

 

■다음 중 vi 편집기의 명령모드에서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문자를 삭제하는 입력 키로 알맞은 것은?

① e

② d

③ x

④ dd

 

=> vi의 명령모드에서 x를 통해 현재 커서가 위치한 문자를 삭제한다.

     vi의 명령모드에서 dd는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한 줄을 삭제한다.

 

■다음 설명과 같은 경우 유용한 vi 편집기의 환경설정 값으로 알맞은 것은?

vi 편집기를 이용해서 C 프로그래밍을 작성 중이다.
[Enter]키를 입력하여 다음 행으로 이동했을 때
바로 위 줄과 같은 열에 커서를 위치시킨다.

① set nu

② set ic 

set ai

set sm

 

=> set nu : 왼쪽 편에 라인의 번호를 보여준다.

     set ic  : 검색 패턴 사용 시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.

     set ai  : 자동 들여쓰기 옵션이다. 윗라인에 맞춰 같이 자동으로 들여쓰기 한다.

     set sm : 소스 코딩 작성 중 괄호를 닫을 때 어디에 있는 열기 괄호와 연관되어있는지 표시한다.

 

■다음은 backup.tar 파일에 추가로 파일을 묶는 과정이다.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# tar () backup.tar lin.txt joon.c

① cvf

② xvf 

rvf

tvf

 

=> tar -c : tar 아카이브 생성. 기존 아카이브 덮어 쓰기. (파일 묶을 때 사용)

     tar -x : tar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. (파일 풀 때 사용)

     tar -r : tar 아카이브의 마지막에 파일들 추가.

     tar -t : tar 아카이브에 포함된 내용 확인.

 

■다음 중 yum 기반으로 telnet이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를 찾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yum search telnet

② yum search *telnet* 

③ yum search ^telnet^

④ yum search ?telnet?

 

=> yum search 검색어로 패키지를 검색할 수 있다.

     *  : 바로 앞의 문자열이나 표현식에서 0개 이상 반복되는 문자를 의미한다.

     ^ : 행의 시작 지점을 의미한다.

     ?  : 0번 또는 1차례까지의 발생을 의미한다.

     

■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술로 알맞은 것은?

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운드를 만들고
캡처하는 인터페이스로 표준 유닉스 장치시스템 콜(POSIX)에
기반을 두고 있다. 총 4가지의 라이선스 옵션으로 배포되고 있다.

① OSS

② ALSA 

 SANE

④ CUPS

 

=> OSS(Open Sound System)은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의 사운드를 만들고 캡처하는 인터페이스이다.

     ALSA는 사운드 카드용 장치 드라이버를 위한 API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.

 

■다음 중 프린터 작업을 요청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lpr

② lpq 

lpc

④ lpstat

 

=> lpr : 일반 사용자가 인쇄 작업을 할 수 있다.

    lpq : 프린터 큐의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.

    lpc : 프린터가 인쇄 가능 상태인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.

    lpstat : 프린터 큐의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.

 

■다음 중 시스템 시작 시 X 윈도 모드로 부팅이 되도록 설정하는 명령은?

① systemctl runlevel.5

② systemctl graphical.target

③ systemctl set-default runlevel.5

④ systemctl set-default graphical.target

 

=> X 윈도우 모드로 부팅되도록 설정하는 명령은 

     systemctl set-default runlevel5.target 또는 systemctl set-default graphical.target 이다.

 

■다음 조건일 때 사용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알맞은 것은?

IP 주소 : 192.168.3.157
서브넷 마스크 값 : 255.255.255.192

① 192.168.3.255

192.168.3.63

192.168.3.127

④ 192.168.3.191

 

=> 157 = 1001 1101

     192 = 1100 0000

     서브넷 마스크가 1인 비트는 네트워크 ID 부분, 0인 비트는 호스트 ID 부분

     브로드캐스트 주소는 호스트 ID 부분이 모두 1인 주소

     즉, 1011 1111 = 191

 

■다음 중 telnet 명령어를 사용해 IP 주소가 192.168.12.22번인 HTTPS 서버의 포트를 점검하는 방법으로

알맞은 것은?

① telenet 192.168.12.22 80

telenet 192.168.12.22:80

telenet 192.168.12.22 -p 443

④ telenet 192.168.12.22 443

 

=> "telnet [IP 또는 도메인] [포트]" 을 통해 해당 포트가 접속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.

     http의 기본 포트는 80이고, https의 기본 포트는 443번이다.

 

■다음 중 OSI 참조 모델을 제정한 기관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IEEE

EIA

ANSI

ISO

 

=> OSI 참조 모델은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이다.

 

■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?

실시간 채팅 프로토콜로 여러 사용자가 모여 대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.
개인 간의 대화와 파일 전송기능도 제공한다.

① IRC

NFS

SAMBA

④ Usenet

 

=> IRC : Internet Relay Chat의 약자로, 여러 사용자가 모여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실시간 채팅 프로토콜이다.

    Usenet : 텍스트 형태의 기사들을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공개된 공간에서 주고 받아 토론할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다.

 

■다음 중 최상위 도메인으로 틀린 것은?

① com

② net

③ kr

④ go

 

=> go는 정부기관을 뜻하는 소속기관 서브 도메인이다. 

 

■다음 중 최상위 도메인으로 틀린 것은?

① com

② net

③ kr

④ go

 

=> go는 정부기관을 뜻하는 소속기관 서브 도메인이다. 

 

■다음 설명과 관계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/dev/hdb1를 저널링 파일시스템으로 만들고,
i-node의 크기를 1MB로 지정한다.

mkfs –t ext4 –i 1000 /dev/hdb1

mkfs –t ext2 –T largefile /dev/hdb1

mke2fs –j –i 1000 /dev/hdb1

mke2fs –j –T largefile /dev/hdb1

 

=> -j : 저널링 파일시스템(ext3, ext4)

     -i : inode의 개수 설정

    -T : inode 크기 설정(1MB = largefile)

 

■다음 중 리눅스 파일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① Reiserfs, XFS, JFS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다.

② sysv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이다. 

③ iso9660은 DVD를 마운트할 때 지정하는 파일 시스템이다.

④ nfs는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 파일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다.

 

=> 유닉스 시스템 V 또는 SysV는 유닉스 운영체제의 최초 상용 버전 가운데 하나이다.

 

■다음 중 기존의 PATH에 /home/ihd 경로를 추가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?

export PATH=PATH:/home/ihd

② export PATH=$PATH:/home/ihd 

export $PATH=$PATH:/home/ihd

export $PATH=PATH:/home/ihd

 

=> 환경변수 변경(덮어쓰기) : export [환경변수]=[새로 등록할 변수]

     기존의 환경변수에 추가 : export [환경변수]=$[환경변수]:[이어서 추가할 변수]

 

■history 명령어를 이용해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확인하려고 한다. 다음 중 히스토리 목록 중에서 5번째에 사용한 명령을 실행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?

 !!

!5 

③ history 5

④ history !5

 

=> history n : 최근의 n개 명령어 확인

     history -c : 히스토리 모두 삭제

     !! : 가장 최근 명령 재 수행

     ![문자열] : 문자열이 포함된 가장 최근 명령 수행

     !n : 히스토리 번호가 n번인 명령 수행(n번째로 수행했던 명령 수행)

 

■다음 중 ps aux 명령으로 출력되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?

 UID

RSS

PPID

④ STIME

 

=> ps aux 명령어를 치면

     USER / PID / %CPU / %MEM / VSZ / RSS / TTY / STAT / START / TIME / COMMAND

     그냥 ps 명령어를 치면

     PID TTY TIME CMD

     ps -ef 명령어를 치면

     UID PID PPID C STIME TTY TIME CMD

 

■다음 중 특정 사용자의 crontab 내용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 crontab -w ihduser

crontab -e ihduser

crontab -w -u ihduser

④ crontab -e -u ihduser

 

=> -e : 편집

     -u : 특정 사용자

 

■다음 중 nohup 명령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① 표준출력과 표준에러는 'nohup.out' 파일을 생성해 기록한다.

nohup는 실행한 명령을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보내 작업한다.

쓰기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'$HOME/nohup.out'파일을 생성해 기록한다.

④ 작업 중인 터미널 창이 닫혀도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작업할 수 있게 한다.

 

=> 리눅스에서 nohup 명령어는 두 가지 기능이 있다.

     1. 표준 출력을 nuhup.out (또는 다른 곳)으로 돌리는 작업을 수행

     2. 프로세스가 중단되지 않는 백그라운드로 작업을 수행

     nohup은 실행한 명령을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보내지 않고 명령행 마지막에 '&'를 붙여야 한다.

 

■다음 구문에서 알 수 있는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[root@ihd ~]# find / -name '*.txt' > list.txt & [1] 12677

① 작업번호는 1이다.

② PID는 12677이다.

③ PPID는 12676이다.

④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실행 방법이다.

 

=> PPID는 프로세스를 만든 부모 프로세스의 PID를 나타내는 값이다. 프로그램을 실행한 프로세스의 PID가 PPID로 할당된다. 따라서, 셸 프롬프트에서 명령어를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했다면 셸이 부모 프로세스가 되어 셸의 PID가 프로세스의 PPID로 할당된다.

 

■다음 중 특수 권한인 Set-Bit를 활용한 사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
① 디렉터리에 Set-GID를 설정

② 실행 파일에 Set-GID를 설정

③ 디렉터리에 Sticky-Bit를 설정

④ 실행 파일에 Sticky-Bit를 설정

 

=> Sticky-Bit는 디렉터리에 설정되는 특수 권한이다.

 

■다음 중 특수 권한인 Set-Bit가 설정된 파일로 알맞은 것은?

① /bin/ln

② /etc/passwd

③ /etc/shadow

④ /usr/bin/passwd

 

=> /usr/bin/passwd 파일의 소유자는 root이다.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기 위해 Set-UID 권한을 가지고 있다.

 

■다음 중 /etc/fstab의 두 번째 필드에 해당하는 값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장치명

② 파일 시스템의 유형

③ 마운트 될 디렉터리

④ 마운트 될 때의 옵션

 

=> 파일시스템 장치 / 마운트 될 디렉터리 / 파일시스템 유형 / 옵션 / 덤프 / 파일체크 옵션

 

■다음 중 /tmp 디렉터리의 허가권을 확인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ls -l /tmp

② ls -ld /tmp

③ chmod -v /tmp

④ chmod -R /tmp

 

=> ls -d : 디렉터리만 추출

     ls  -l : 소유자, 파일 크기 등 자세한 정보도 같이 출력

 

■다음 중 관리자 계정으로 ihduser의 로그인 셸을 변경할 때 수정하는 파일로 가장 알맞은 것은?

① /etc/shells

② /etc/passwd

③ /etc/profile

④ ~/.bash_profile

 

=> /etc/passwd는 시스템에 로그인해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리스트를 담는다.

     계정명, UID, GID, 로그인 셸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진다.

 

■다음 결과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[ihduser@www ~]$
alias l.='ls -d .* --color=auto'
alias ll='ls -l --color=auto'
alias ls='ls --color=auto'
alias vi='vim'

① alias

② alias -l

③ ualias

④ unalias

 

=> alias 별명='명령어' : alias 설정

     unalias 별명 : alias 해제

     alias :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alias의 내역을 확인

 

■다음은 리눅스 시스템 전체에서 디렉터리만 찾아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명령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실행하려고 한다. 다음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# find / ( ㄱ ) d 2> /dev/null > list ( ㄴ )

① ㄱ: -name, ㄴ: &

② ㄱ: -name, ㄴ: %

③ ㄱ: -type, ㄴ: &

④ ㄱ: -type, ㄴ: %

 

=> d : 디렉터리, 포->백으로 변경할 때 뒤에 &을 붙임

 

■다음과 같이 사용자 제거 작업이 실패하였다. 해당 작업 전에 실행해야할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[root@www ~]# userdel -r ihduser
userdel: user ihduser is currently used by process 3878
[root@www ~]#

① kill 3878

kill ihduser

 kill -9 3878

 killall -9 3878

 

=> kill -9 [프로세스 번호] : 강제 종료

 

■다음 중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emacs는 강력한 질의 및 치환 기능을 가지고 있다.
( ㄱ )키 입력 후에 ( ㄴ )키를 누르면 화면 하단에
( ㄷ )이라는 프롬프트가 나타나면서 질의를 통한 
치환을 진행할 수 있다.

① ㄱ: [Esc], ㄴ: %, ㄷ: Query replace:

ㄱ: [Esc], ㄴ: &, ㄷ: Query replace:

③ ㄱ: [Crtl], ㄴ: %, ㄷ: Query replace with:

ㄱ: [Crtl], ㄴ: &, ㄷ: Query replace with:

 

=> emacs는 ESC를 클릭 후 %를 누르면, 화면 하단에 Query replace: 라는 프롬프트가 나타나며 질의를 통한 치환 가능

 

■다음 중 pico 에디터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
 구문 강조

단락 정의

맞춤법 검사

복사 및 붙여넣기

 

=> pico는 복사 및 붙여넣기, 맞춤법 검사, 단락 정의 기능 등이 있다.

 

■다음 중 vim 에디터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
① 히스토리 기능

② 문법 검사 기능

③ 다중 되돌리기 기능 

④ 질의를 통한 치환 기능

 

=> 질의를 통한 치환 기능은 emacs의 기능이다.

 

■다음은 ihd.tar 파일을 압축해제 없이, 내용만 확인하는 과정이다.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cvf

rvf

③ tvf 

④ xvf

 

=> c : 새로운 아카이브 파일 tar 생성

     r : 아카이브된 파일의 마지막 부분에 파일 추가

     t : 아카이브 파일 안에 있는 목록 나열

     x : tar로 묶은 파일을 원본 파일로 복원

 

■다음 중 rpm의 설치 관련 옵션으로 틀린 것은?

① -fvh

② -Fvh

③ -Uvh

④ -ivh

 

=> rpm -Fvh  : 이전버전 패키지가 있는 경우에만 패키지 설치

     rpm -Uvh : 패키지 업그레이드(설치가 되지 않은 경우 -ivh 옵션과 동일)

     rpm -ivh  :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 확인

 

■다음 결과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[root@www ~]#
www/unix:0 MIT-MAGIC-COOKIE-1 ef5010adc7e4de2386463aaa118ec20a
[root@www ~]#

① xauth

② xauth list

③ xauth list DISPLAY

④ xauth list $DISPLAY

 

=> xauth list $DISPLAY를 통해 서버 측 MIT-MAGIC-COOKIE-1 값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■다음 중 할당받은 C 클래스 1개의 네트워크 주소 대역에서 서브넷마스크를 255.255.255.128로 설정했을 경우에 생성되는 서브네트워크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?

① 2

② 4

③ 64

④ 128

 

=> 128 = 1000 0000

     네트워크 ID 부분의 비트가 1개 -> 2^1 = 2개

 

■다음 조건일 경우, SSH 인증 파일의 경로는?

사용자명 : ihduser
홈 디렉터리 경로 : /home/ihduser

① /home/ihduser/authorized_keys

② /home/ihduser/.authorized_keys

③ /home/ihduser/.ssh/authorized_keys

④ /home/ihduser/ssh/.authorized_keys

 

=> 공개키를 인증할 때 사용하는 키의 내용을 ~/.ssh/authorized_keys 파일에 추가된다.

 

■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netstat 명령의 상태 값(State)으로 알맞은 것은?

서버시스템이 원격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아
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하였지만, 아직 클라이언트에게
확인 메시지를 받지 못한 상태이다.

① SYS-SENT

② LAST_ACK

③ ESTABLISHED

④ SYN_RECEIVED

 

=> SYS-SENT : 연결 요청 대기 상태

     LAST_ACK : 클라이언트가 SYN 신호를 보낸 경우

     ESTABLISHED : 서버는 SYN을 받았고, 이에 대한 응답으로 SYN+ACK 플래그를 보낸 상태

 

■다음 중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ip

② ss

③ arp

④ route

 

=> ip :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네트워크 매니저 데몬수준에서 ip 관련 정보 조회 및 설정에 관련한 명령어

     ss :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흔히 사용하는 명령어 (= netstat)

   arp :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arp 테이블을 확인하고 추가, 삭제하는 명령어

route : 라우팅 테이블,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
 

■fdisk 명령을 실행하면 파티션의 속성(Id)을 확인할 수 있다. 다음 중 스왑(swap)에 해당하는 속성값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82

② 83

③ 8e

④ fd

 

=> SWAP은 물리메모리의 메모리 부족 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를 메모리로 사용하는 파티션

     82 : Linux swap / Solaris

     83 : Linux

     8e : 논리 볼륨 관리자 파티션

     fd  : Linux RAID

 

■다음 중 /etc/fstab의 첫 번째 필드 형식으로 틀린 것은?

① /

② /dev/sdb1

③ LABEL=/home

④ UUID=cb929e4a-f1ac-4087-b86b-90338f9bc745

 

=> /etc/fstab의 첫 번째 필드는 장치명으로, 장치명에 올 수 있는 것은 실제 장치이름, 라벨명, 장치의 UUID

     '/'은 마운트 위치를 나타내므로 두 번째 필드 형식이다.

 

■다음 중 /home 영역에 설정된 사용자 쿼터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quota /home

② repquota /home

③ edquota /home

④ quotacheck /home

 

=> quota는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
     quota와 repquota 둘 다 사용자 단위로 쿼터 설정 정보를 출력해준다.

     quota : 현재 사용자와 관련된 쿼터 정보를 출력

     repquota : 시스템 단위의 쿼터 정보를 출력

 

■다음 중 셸 환경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이 틀린 것은?

① PATH=$PATH:$HOME/bin

② PS1='[\u@\h \w]\$ '

③ TMOUT=/bin/logout

④ TERM=xterm

 

=> TMOUT은 /bin/logout이 아닌 /etc/profile에서 설정할 수 있다.

     ex) TMOUT=3600

 

■다음 중 조건에 맞은 명령어 형식으로 알맞은 것은?

- 메일 전송 시 mail 명령어 사용
- webmaster@example.com 계정에게 메일 전송
- 메일 제목은 '[OK] server check'
- 메일 내용은 report.txt 파일의 내용
- 단, 하나의 라인으로 작업 완료

mail -s "[OK] server check" webmaster@example.com < report.txt

mail -s "[OK] server check" webmaster@example.com > report.txt

mail -s "[OK] server check" webmaster@example.com << report.txt

mail -s "[OK] server check" webmaster@example.com >> report.txt

 

=> > : 명령어 뒤에 나오는 파일에 쓸 때 사용

   >> : 명령어 뒤에 나오는 파일에 추가할 때 사용

 

■다음 중 배쉬셸 명령행 편집 기능에 대한 명령과 설명이 틀린 것은?

[Ctrl + b] : 커서를 왼쪽으로 한칸 이동

[Ctrl + f] :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칸 이동

[Ctrl + a] : 맨 왼쪽으로 이동

[Ctrl + d] : 맨 오른쪽으로 이동

 

=> Ctrl + d : 현재 커서의 글자 지우기

     Ctrl + e : 맨 오른쪽으로 이동

 

■다음 중 프로세스 우선순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'ps -l'명령으로 PRI와 NI를 확인할 수 있다.

② PRI는 운영체제에서 참고하는 우선순위 값으로 범위는 -20부터 19까지이다.

③ NI는 root나 사용자가 조작하는 우선순위 값으로 낮은 값일수록 우선순위가 높다.

④ NI값을 설정하면 리눅스는 상황에 따라 PRI값을 적절히 변경하여 우선순위를 조정한다.

 

=> NI의 범위가 -20부터 19까지이다.

 

■다음 중 시그널과 관련된 키보드입력에 대한 종류가 틀린 것은?

① SIGKILL :

② SIGINT :

SIGQUIT :

SIGTSTP :

 

=> SIGKILL에는 별도의 Keyboard Binding이 존재하지 않는다.

 

■프로세스의 상태를 출력해주는 명령어가 아닌 것은?

① ps

② pstree

③ kill

top

 

=> kill 명령은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전송하는 명령으로, 기본적으로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때 사용한다.

 

■다음 중 프로세스 유틸리티(Utility) 사용법과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① kill - l : 시그널의 종류를 출력

② killall -9 1234 : PID가 1234인 프로세스에게 9번 시그널을 보냄

③ kill -HUP 1234 : PID가 1234인 프로세스에게 1번 시그널을 보냄

④ kill 1234 : PID가 1234인 프로세스에게 15번 시그널을 보냄

 

=> killall 명령어는 PID가 아니라 프로세스명을 사용한다.

 

■다음 중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문서 끝까지 ihd라는 문자열을 kait로 치환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?

:% s/ihd/kait/g

:0,$ s/ihd/kait/g

:.,$ s/ihd/kait/g

:1,$ s/ihd/kait/g

 

=> :% s/ihd/kait/g : 문서 전체의 ihd 문자열을 kait로 치환

     :0,$ s/ihd/kait/g : 0줄이란 없다

     :.,$ s/ihd/kait/g : 현재 줄 부터 문서의 끝까지 ihd 문자열을 kait로 치환

     :1,$ s/ihd/kait/g : 1줄부터 문서의 끝까지 ihd 문자열을 kait로 치환

 

     . : 현재 줄 생략가능

     n+m : n줄에서 m을 더한 줄까지

     $ : 마지막 줄

     n,m : n줄에서 m줄까지

     % : 전체

     마지막의 g : 문자열 전부 치환

 

■다음 중 vi 편집기에서 입력모드 전환과 관련된 명령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?

i

② o

③ p

④ s

 

=> i : 현재 커서 앞에 삽입하면서 입력모드로 전환

    o :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아랫줄에 삽입하면서 입력모드로 전환

    s : 현재 커서가 위치한 곳의 문자를 지우면서 입력모드로 전환

    p : 버퍼에 들어있는 내용을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아래에 붙임

 

■다음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# rpm () vsftpd
vsftpd-2.2.2-24.el6.i686

-v

② -V

③ -q

④ --version

 

=> -v : 메시지를 자세히 보여준다.

     -V : 검증 시 사용하는 기본 옵션 (--verify)

     -q : 질의 시에 꼭 사용해야 하는 옵션으로 패키지를 찾으면 패키지명과 버전만 표시한다(--query)

     --version : rpm의 버전 보기

 

■특정 패키지가 설치한 파일 목록을 확인하려고 한다.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# dpkg () vim

 -ql

② -l

③ -L

④ -R

 

=> dpkg -l : 설치된 패키지 리스트

    dpkg -L : 설치된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보기

 

■다음 조건과 같을 때 ()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
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만 찾아서 업그레이드 설치하고, 메시지와 진행 상황을 '#' 기호로 출력한다.
# rpm () /usr/local/src/*.rpm

 -ivh

② -uvh

③ -Uvh

④ -Fvh

 

=> -Uvh : 해당 패키지 업그레이드

     -Fvh : 현재 설치된 패키지만 찾아서 업그레이드

 

■lp 명령어로 파일을 여러 장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?

 -d

② -p

③ -#

④ -n

 

=> lpr -# : BSD 계열 명령어로 인쇄할 매수 지정 옵션

      lp -n : System V 계열 명령어로 인쇄할 매수 지정 옵션

 

■다음 중 X 윈도 실행 시에 생성되는 관련 키 값의 저장 경로로 알맞은 것은?

$HOME/xauthority

$HOME/Xauthority

$HOME/.xauthority

④ $HOME/.Xauthority

 

=> X 윈도 실행 시에 생성되는키 값들은 .Xauthority에 저장된다.

 

■다음 중 로컬 시스템에 사용 중인 네트워크 맥(MAC) 주소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ip

② ss

③ route

④ arp

 

=> ip link show eth0 :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MAC 주소를 확인할 때 사용

     arp : 상대방의 MAC 주소를 확인할 때 사용

 

■다음 중 원격지에 있는 시스템과의 프린터 공유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로 알맞은 것은?

① SSH

② NFS

③ TELNET

④ SAMBA

 

=> SAMBA는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리눅스 또는 유닉스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.

 

■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LAN 구성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?

네트워크 전송상의 충돌이 없고, 노드의 숫자가 늘더라도 전체적인 성능 저하가 적다. 
단점으로는 노드의 추가가 비교적 어렵고, 노드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될 수 있다.

① 스타형

 버스형

③ 링형

④ 망형

 

=> 링형은 한 방향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전송상의 충돌이 없다. 노드의 추가나 고장 시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된다.

 

■다음 중 C 클래스 기준으로 서브넷마스크를 255.255.255.192로 설정했을 때 하나의 서브네트워크에서 호스트에 할당할 수 있는 IP 주소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?

① 62

64

③ 126

④ 128

 

=> 192 = 1100 0000

     2^6 = 64

     64 - 2 = 62 (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외)

 

■다음 중 시스템에 설정된 게이트웨이 주소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?

① ifconfig

② ss

③ route

④ arp

 

=> 리눅스에서 게이트웨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route, netstat, ip를 이용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