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마스터 2급

<Linux 마스터 2급> 프로토콜 개요

지우친구 웅이 2021. 11. 16. 23:33

■OSI 7 모델과 TCP/IP 모델

OSI 7 모델 기능 TCP/IP 모델
7 응용 계층 사용자에게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User Interface를 제공, UI로 데이터 생성 응용 계층
6 표현 계층 부호화(encoding), 압축(compression), 암호화(encryption)
5 세션 계층 종단 간 애플리케이션들의 연결 설정, 유지, 해제
4 전송 계층 종단 간 연결(end-to-end connection), 응용 계층 사이에 논리적인 통로 제공(virtual circuit) 전송 계층
3 네트워크 계층 논리적인 주소 사용, 경로 관리, 최적 경로 설정 인터넷 계층
2 데이터링크 계층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형식 결정, 오류 검출 기능 제공
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Media에 접근하는 방법 제공
네트워크 액세스 계층
1 물리 계층 물리적인 연결,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 절차적인 수단 제공

7계층은 고유한 기능을 가지며 계층 간에 상호 의존적

7계층은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지만 계층의 구분이 OSI 참조 모델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음

TCP/IP는 다양한 프로토콜의 집합체로 가장 신뢰성있는 통신 규약으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제공

 

■계층별 프로토콜

· 프로토콜(protocol)은 특정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규약

· 두 노드 사이의 정보 교환 시 발생하는 통신상의 에러를 피하기 위하여 합리적으로 통제

· 프로토콜 구성요소는 형식(syntax), 의미(semantic), 순서(timing)

형식(Syntax : 문법, 구문) 데이터 포맷(형식), 부호화 및 신호 레벨 등
의미(Semantic)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, 어떤 동작을 할 것인가 결정
전송의 조정 및 오류 처리를 위한 제어 정보 등
순서(Timing) 속도 일치 및 순서 제어 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