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Linux 마스터 2급> 네트워크 장비
■LAN 구성 장비
1. 케이블(cable)
· 보호 외피나 외장 안에 두 개 이상의 전선이나 광섬유로 묶여 있는 것
· TP(twisted pair) 케이블, 동축 케이블, 광섬유 케이블 등을 사용
- TP 케이블 : 전기적 간섭을 줄이기 위해 여러 꼬임선들을 절연체로 피복하여 구성한 케이블(UTP 케이블, STP 케이블)
ex) 100 BASE FX : 속도 채널 케이블타입
SX : 단파장, LX/LH : 장파장, FX : 광전송
2. 리피터(repeater)
신호의 재생 및 증폭기능을 수행하여 물리적인 거리를 확장
3. 허브(Hub)
· 신호를 노드에 전달해 주는 장비
· 네트워크 확장, 다른 허브와의 상호 연결, 신호의 증폭 등의 기능을 제공
4. LAN 카드
·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확장 카드
· 전기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고 변환하며,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송신
· MAC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별
5. 브릿지(bridge)
· 모든 수신 프레임을 일단 버퍼에 저장하고, 주소에 따라 목적지 포트로 프레임을 전달하는 장비
· 큰 네트워크를 단일 네트워크상의 트래픽 감소 등과 같은 작고 관리하기 쉬운 segment로 나눌 필요가 있을 때 사용
· 전기적으로 신호의 재생 및 패킷의 송수신 어드레스를 분석하여 패킷의 통과 여부를 판정하는 필터링을 작용
6. 스위치(switch)
· 브릿지와 비슷한 기능을 갖는 장비
· 소프트웨어 기반인 처리 방식으로 브릿지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
· 맥 주소 테이블(MAC Address Table)을 기반으로 프레임 전송
· 스위칭 허브(Switching HUB)는 전용매체교환 기술을 이용하여 트래픽 병목 현상을 제거하고, 포트별로 속도가
전용으로 보장
■인터네트워킹 장비
1. 라우터(router)
· OSI 모델의 물리 계층, 데이터링크 계층,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
· 서로 다른 통신망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지원
· LAN을 연결시켜주는 망 연동 장치로서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
· 전용회선으로 LAN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게 해줌
· 목적지로 향하는 최적의 경로 설정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
2. 게이트웨이(gateway)
· 서로 다른 형태의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는 장치
· 서로 다른 통신망이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를 통칭
· 데이터 포맷 등 두 개의 시스템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
■UTP 케이블링
다이렉트 케이블 |
· 양쪽을 EIA/TIA 568-B 표준 연결 · 이 기종 간의 장비를 연결할 때 사용 · 컴퓨터-허브/스위치 또는 라우터-허브/스위치 |
||||||||
PIN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|
568-B | 빗금 주황 | 주황 | 빗금 녹색 |
파랑 | 빗금 파랑 |
녹색 | 빗금 갈색 |
갈색 | |
크로스오버 케이블 |
· 한쪽은 EIA/TIA 568-B, 다른 한쪽은 568-A 연결 · 같은 기종의 장비를 연결할 때 사용 · 컴퓨터-컴퓨터 또는 스위치-스위치 또는 컴퓨터-라우터(예외) |
||||||||
PIN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|
568-B | 빗금 주황 |
주황 | 빗금 녹색 |
파랑 | 빗금 파랑 |
녹색 | 빗금 갈색 |
갈색 | |
568-A | 빗금 녹색 |
녹색 | 빗금 주황 |
파랑 | 빗금 파랑 |
주황 | 빗금 갈색 |
갈색 |